본문 바로가기
걸어서세상속으로

양양 미천골 불바라기약수

by 가을하늘흰구름 2022. 5. 19.

*탐방지: 양양 미천골 자연휴양림 불바라기약수
*날짜: 2022.5.19(목)
*코스: 오토캠핑장 - 불바라기약수- 오토캠핑장 (원점회귀 12.8km 3:30분 )
*찾아가는 길: 자가용 이용 미천골자연휴양림 주차장

양양 투어 1일차
아내가 1박 2일 양양 국제교육원으로 연수를 가는데 동행자도 없고 혼자서 운전하기도 힘들다고 엉구럭을 떤다
지혜로운 남편이라면 이럴 때 존재감을 발휘해야 훗날 이사갈 때 자가용 옆자리를 보전할 수 있다는 이치를 익히 들어서 알고 있기에 정의의 운전기사를 자청하고 회사에 휴가를 내어 의도치 않았던 양양 여행을 시작한다

첫째 날은 시간 관계상 원점회귀 코스를 정해야 한다
두루누비 어플에서 양양을 검색하던 중 '불바라기 약수길'이라는 글자가 눈에 들어온다
명지가리 약수와 더불어 우리나라 최고의 오지 약수라고 이름으로만 들어왔던 약수이기 때문이다
명지가리 약수는 홍천군 내면 월둔리에 위치하며 탐방소에서 11km를 걸어 들어가야 만날 수 있고 2019년에 다녀온 적이 있다 (내 블로그 https://blog.naver.com/dokkab2/221558130508 )

연수원으로 아내를 들여보내고 차를 몰아 미천골 자연휴양림으로 향한다
탐방안내소에서 입장권을 구매하니 제일 꼭대기 주차장인 오토캠핑장까지 들어가도 된다고 친절하게 알려준다
안내소에서 오토캠핑장까지는 6.3km이고 거기서 약수터까지는 또 6km를 가야 하는데
시간이 여유가 있다면 천천히 모두 돌아보고 싶은 마음 간절이나 오늘은 오후 5시 30분까지 교육원으로 가야 하는 제약이 있어서 캠핑장까지 차를 타고 간다
휴양림 요금은 입장료 1천 원 ,주차료 2천 원

미천골이란?
미천곡(米川谷)의 한글표시가 바로 미천골이다
선림원 절에서 밥을 할 때 쌀 씻은 물이 하얗게 계곡을 따라 흘러내렸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란다
'쌀 뜸물 흘러간 골짜기' 라는 뜻
이곳은 35년 전만 하더라도 미천골 계곡 40리에 집이 한 채밖에 없었던 오지 중의 오지였다

미천골 국립자연휴양림
약 12km에 달하는 미천골계곡을 따라 조성된 휴양림으로 산림휴양관 등의 숙박시설과 캠핑장이 마련되어 있고 신라 시대 고적인 선림원지와 불바라기약수터가 있다
특히 구룡령 정상에서 휴양림 방면으로 이어지는 56번 국도는 수려한 계곡과 아름다운 풍광을 자랑해 드라이브 코스로도 손색이 없다
주소지: 양양군 서면 미천리 산 5번

미천골 자연휴양림 종합 안내도
불바라기약수터(4.8km) - 멍에정(0.3km) - 미천골정 - 상직폭포(0.9km) - 숲속의집제3지구 - 제3야영장 - 오토캠핑장(0.3km) - 제2야영장(1.0km) - 샘터정 - 제1야영장(2.8km) - 심실폭포 - 숲속의집제2지구(0.5km) - 선림원지(0.8km) - 숲속의집제1지구 - 산림문화휴양관(1.0km) - 매표소 - 구룡령 56번 국도


오토캠핑장 입구 (11:55)


캠핑장을 지나면 곧바로 약수터길이 나온다


불바라기 약수에 대한 안내문

안내판의 내용을 복사해 보면

불바라기 약수
불바라기 약수터는 이곳으로부터 6km 지점에 위치하며 폭포 길이 30m에 달하는 청룡, 황룡폭포가 있는 아름답고 인적이 드문 청정지역입니다
폭포 중간에서 샘솟는 신비스러운 약수로서 철분 등 몸에 좋은 물질을 많이 함유한 탄산수로서 옛부터 위장병, 피부병에 효험이 있다고 합니다
이 지점부터 전방은 노폭이 협소하고 험준한 임도이므로 차량 통행을 통제하오니 산행은 도보로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요시간: 약 3시간)

불바라기 유래
과거 양양지방은 철이 풍부한 고장으로 유명하며, 이곳 미천계곡 곳곳에서 철을 이용하여 농기구를 제작하던 대장간이 많아 불바닥을 이루었다 하며, 불바닥이 변천하여 불바라기로 전해집니다

임도 시작점 (12:03)


산불감시 초소가 희한하게 생겼네 했더니 '산양지킴이 구조대' '밀엽.밀거래 감시단 양양출장소'라고 쓰여 있다
미천골 주변에는 천연기념물 217호로 지정된 산양이 서식하고 있으며 양양군에서는 이들을 적극적으로 보호하고 있는 중이다


편안한 임도길이 이어지고


미천골정 (12:15)


상직폭포
미천골정과 상직폭포는 임도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고 있다


폭포 수량이 빈약하지만 주변의 바위와 이끼와 돌단풍 군락이 잘 어울린다

상직폭포와 돌단풍

물고기가 더 이상 올라가지 못했다는 상직소

물고기가 걸어서 가지 않고는 절대로 올라가지 못했을 상직소 상류의 암반


멍에정 (12:30)


백두대간의 의미와 유래를 알려주는 안내판


입산통제 기간을 잘 기억해야 한다
봄철 2.1~5.15
가을철 11.1~12.15
오늘이 5월 19일이니 지난 주에 왔더라면 못들어갈 뻔 했다


불바라기 약수터 입구에 도착 (13:40)
약수터는 이 지점으로부터 계곡을 타고 280m 더 들어가고
'태고의 숲에서 한 그릇 약수를 미시고 나면 가히 천하가 내 것이 아니랴!' 라고 쓰여 있다


험난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진입로를 최근에 정비한 듯한 시멘트 돌다리를 건너고


동굴같이 시커멓고 깊숙한 저 안에 약수가 있다


좌 황룡폭포, 우 청룡폭포


먹다 남은 생수통 물을 버리고 약수로 채워서 한 모금 마시니 눈이 번쩍 뜨인다
지금까지 먹어 본 약수 중 최고다
통상의 탄산약수는 철분의 비릿함과 탄산의 찝찔함이 있는데
불바라기 약수는 입에 주입하자마자 청량음료처럼 혓바닥을 톡 쏘며 입 안을 환하게 헹구는 아주 깔끔한 맛이다
500미리 생수통을 그득 채워서 가지고 간다 (물통이 한 개밖에 없는 것이 안타깝다)


약수터에서 한 참을 놀다가 천천히 되돌아 나오면서 황룡폭포와 청룡폭포를 한 화면에 담아보는데 오른쪽 청룡폭포 물줄기가 너무 가늘어서 폭포인 듯 아닌 듯 (14:00)


길가에서 만나는 고광나무 꽃
고광나무 어린 순은 오이순나물이라 부른다


쉼터스러운 작은 개활지 옆에 '화장실'이라는 표시는 보이는데 막상 화장실 건물은 안 보인다 (15:35)
두리번거리며 찾아보니 허얼~ 돌계단을 올라 음산한 기운이 역력한 쩌~쪽 구석진 곳에 화장실이 차려져 있다
심장 약한 사람은 도착하기도 전에 소변 지리게 될지도 모를 일


무슨 안내판인가 하고 들여다보니 조봉에 대한 내용이다
'암반과 숲이 연출하는 풍광이 설악산을 방불케 하는 숨겨진 명산이고 이웃한 미천골이 사람들의 발길을 모두 뺏어가 버린 덕분에 조봉은 천연 그대로의 풍광을 고스란히 보존하고 있다' 라고 요란하게 소개하고 있는데


막상 등산로 입구는 막혀져 있다
향후 조봉에 오를 일은 없을 거 같다


캠핑장에서 차를 타고 내려오는 도중 바닥에 주저앉아 울고 있는 작은 새를 만났다
퍼드적 거리는 폼새가 많이 다친 듯하여 손으로 붙잡아 살펴보니 한 쪽 날개가 부러져 있다
아이구 이걸 어쩌나
내가 수의사도 아니고..
차에 태워 품에 안고 안내소까지 와서 안내하시는 분께 도움을 청하니 그 역시도 난감하기는 매한가지


자연의 생명은 자연에서 살아야 한다는 이치를 억지로 적용하며 안내소 옆 벤치에 녀석을 올려놓고 한 참을 바라보다가 발길을 돌린다 (16:27)
이후 이 녀석은 두고두고 내 머릿속을 미안함으로 어지럽게 한다
라면박스라도 하나 얻어서 집으로 데려와 보살펴 줬어야 하는 것은 아닌지...
지금 잘 살고 있지? 작은 새~


오늘 코스에 대한 정리
오늘은 미천골 탐방소에서 캠핑장까지 차를 타고 이동했는데 사실은 이 구간이 더 멋진 길로 보인다
시간을 넉넉히 갖고 탐방소에서 약수터까지 왕복 22km 온전한 걷기를 추천하며
캠핑장~약수터 입구까지의 구간은 바닥에 잔돌이 많고 하늘이 휑하니 열려 있는 땡볕길이라 폭염 기간에는 적절하지 않다
그리고
시간이 부족하여 그냥 지나친 선림원지의 아쉬움을 인터넷 검색으로 대신한다
미천골이란 명칭의 유래가 선림원에서 비롯되었다는 얘기는 앞에서 이미 적었다

선림원지(禪林院址)
강원도 양양군 서면 황이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절터
강원도 기념물 제53호
선림원은 804년 순웅법사가 창건하어 홍간선사가 번창시킨 사찰로 당대 최고 수준의 선수련원으로 알려지며 10세기경 어느 해 대홍수와 산사태로 매몰되었고 이후 아직까지 복원되지 못하고 있다
여기서 장학퀴즈.. 순웅법사는 누구?
답, 802년 합천 해인사를 세운 스님
지금 선림원지에는 보물로 지정된 삼층석탑(제444호) 석등(제445호) 부도(제447호)와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가 있다
선림원지에 대한 유마님의 블로그 참고 https://blog.naver.com/bigslow/222635315914

캠핑장~약수터 구간 원점회귀 궤적

 

댓글